주식공부

또로의 부자일기 5화 손익계간서 보는법

또로부자 2025. 8. 25. 05:18

너 열심히 일했어?

그럼 성과가 있어야지?

그 성과를 만들어 내기위해 얼마를썼고 

얼마를 벌었는지 나타내준다 

 


각 줄(line item)이 무엇을 뜻하는지,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항목별로 

간략하게 이야기 한다


1) 매출액(Revenue, Sales)이다

  • 물건·서비스를 판매해 인식한 총액이다. 현금이 들어왔는지와 무관하게 인식 기준을 충족하면 기록된다.
  • 구독·플랫폼·건설 등 업종마다 인식 시점이 다를 수 있다.
  • 해석 포인트이다
    • YoY(전년동기) 성장률이 안정적이면 수요가 탄탄한 것이다.
    • 고객·제품·지역별 분해가 가능하면 어디서 성장/둔화가 나오는지 보이는 것이다.
    • 대형 단일 계약 의존도가 높다면 변동성이 큰 구조일 수 있는 것이다.

매출액은 그 기업의 시장 크기를 말한다 

2) 매출원가(COGS, Cost of Sales)이다

  • 제품을 만들고 서비스 제공에 직접 들어간 직접비이다(원재료, 제조인건비, 공장간접비 등)
  • 서비스 기업은 인건비·트래픽·수수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.
  • 해석 포인트이다
    • 원가율 = 매출원가/매출액이다. 원가율 하락은 스케일 이코노미 또는 믹스 개선 신호일 수 있는 것이다.
    • 원자재 가격, 환율, 물류비 민감도를 체크해야 하는 것이다.

 

3) 매출총이익(GrossProfit)이다

  • 공식: 매출총이익 = 매출액 – 매출원가이다.
  • 총이익률(GPM) = 매출총이익/매출액이다.
  • 해석 포인트이다
    • 총이익률은 제품 경쟁력과 가격지배력을 비추는 거울이다.
    • 판가 인상, 제품 믹스 상향, 원가 절감 시 구조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.
     

4) 판매비와관리비(SG&A)이다

  • 판매·마케팅비, 급여, 임차료, 물류, 본사 관리비, 일부 감가상각 등 본업 운영비이다.
  • R&D를 별도 표시하지 않으면 SG&A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.
  • 해석 포인트이다
    • 판관비율 = SG&A/매출액이다. 매출이 늘 때 판관비율이 내려가면 영업레버리지가 작동하는 것이다.
    • 광고비 급증이 성장 투자인지, 실적 방어인지 맥락 확인이 필요하다.
     

5) 연구개발비(R&D)이다

  • 제품·기술 개발을 위한 비용이다.
  • 일부는 무형자산으로 자본화되어 손익이 아닌 자산으로 처리될 수 있다.
  • 해석 포인트이다
    • 비용화 비중이 크면 당기 이익은 낮아지지만 보수적 회계로 볼 수 있는 것이다.
    • 자본화가 큰 기업은 상각비가 미래 기간에 나타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하는 것이다.
     

6) 영업이익(Operating Income)이다

  • 공식(일반형): **영업이익 = 매출총이익 – SG&A – (분리표시된 R&D 등)**이다.
  • 본업에서 벌어들인 이익의 핵심 지표이다.
  • 영업이익률 = 영업이익/매출액이다.
  • 해석 포인트이다
    • 분기 변동보다 연속성·추세가 중요하다.
    • 일회성 비용/이익이 섞였는지 주석 확인이 필요하다.
     

7) 기타영업외수익·비용(Other, Non-operating)이다

  • 자산 처분이익, 손상차손, 소송, 보조금, 평가손익 등 일회성·비정기 항목이 포함되곤 한다.
  • 해석 포인트이다
    • “기타” 항목이 크고 잦으면 기본 체력이 왜곡될 수 있는 것이다.
    • 반복적·구조적 항목인지, 일회성 이벤트인지 구분이 핵심이다.
     

8) 금융수익/금융비용(Finance Income/Costs)이다

  • 이자수익·이자비용, 환율평가손익, 파생상품 평가손익 등이 포함된다.
  • 해석 포인트이다
    • 순이자비용 증가는 차입 부담 확대 신호일 수 있는 것이다.
    • 환율·파생 관련 손익은 현금이 아닌 평가인 경우가 많아 지속성을 따져야 하는 것이다.

9) 법인세비용(Income Tax Expense)이다

  • 당기세와 이연세로 구성된다.
  • 유효세율 = 법인세비용/법인세차감전이익이다.
  • 해석 포인트이다
    • 유효세율 급변은 일시적 공제·충당·이연 처리 영향일 수 있는 것이다.
    • 장기 평균과의 괴리를 주석에서 확인해야 하는 것이다.

10) 당기순이익(Net Income)이다

  • 모든 비용과 세금을 반영한 최종 이익이다.
  • 연결 기준에서는 지배주주순이익비지배지분순이익으로 나뉠 수 있다.
  • 해석 포인트이다
    • EPS(주당순이익) 추세가 주가 밸류에이션의 핵심 입력이다.
    • 순이익이 영업현금흐름과 동행하는지 확인해야 질이 보이는 것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