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린이는 천천히 공부한다
용어부터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
증권계좌에 나와있는 s&p는 뭐고 나스닥은 뭐고 다우존스는 무엇인가
그런 것부터 알아야한다
1. S&P 500
정의: 미국 시가총액 상위 약 500개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.
-
- 역사: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(Standard & Poor’s)가 1957년 발표.
- 방식: 시가총액가중 방식 →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큼.
- 특징:
- 미국 경제 전체를 가장 잘 반영하는 지수.
- 정보기술, 금융, 헬스케어, 산업,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 포함.
- 투자 의미:
- 전 세계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추종하는 벤치마크 지수.
- ETF(예: SPY, VOO)를 통해 쉽게 투자 가능.
2. 다우존스 (Dow Jones Industrial Average, DJIA)
정의: 미국을 대표하는 30개 대형 우량 기업의 주가 평균 지수.
-
- 역사: 1896년 찰스 다우(Charles Dow)가 처음 발표 →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.
- 방식: 가격가중 방식 → 주가가 높은 종목이 지수에 더 큰 영향.
- 특징:
- 전통적인 대기업(애플, 마이크로소프트, 골드만삭스, 코카콜라 등) 위주.
- 미국 경제의 ‘상징적 지표’로 자주 인용됨.
- 한계:
- 종목 수가 30개뿐이라 미국 경제 전체를 대표하기엔 부족.
- 계산 방식이 오래되어 현대적이지 않다는 비판도 있음.
3. 나스닥 (NASDAQ)
- 정의: 미국 나스닥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들을 모은 시장 및 지수.
- 역사: 1971년 설립, 세계 최초의 전자식 거래소.
- 구성: 약 3,000개 이상의 기업.
- 특징:
- 기술주 비중이 높음 → 애플, 테슬라, 엔비디아, 아마존 등.
- 성장주 중심이라 변동성이 크지만 수익 기회도 많음.
- 대표 지수: 나스닥 종합지수(전체), 나스닥100(대형 100개 기업).
- 투자 의미:
- “기술주의 바로미터” → IT 산업 성장 여부를 가장 잘 보여줌.
- 미국뿐 아니라 글로벌 투자자들이 집중하는 시장.
4. 코스닥 (KOSDAQ)
- 한국의 중소·벤처기업 중심 시장.
- 바이오, 2차전지, 게임, 콘텐츠 기업들이 다수 상장.
- 변동성이 크고 미래 성장성을 보고 투자하는 시장.
5. 코스피 (KOSPI)
- 한국의 대표 주식시장.
- 삼성전자, 현대차, LG 등 대기업이 상장된 안정적 시장.
- 미국의 **뉴욕증권거래소(NYSE)**와 유사한 성격.
👉 정리하면,
- S&P 500 = 미국 전체 시장 대표 지수
- 다우존스 = 미국 대기업 30개 지수
- 나스닥 = 미국 기술·성장주 중심 시장
- 코스피 = 한국 대기업 시장
- 코스닥 = 한국 중소·벤처기업 시장
시장의 흐름이 개개별 주가에 끼치는 영향들이 크기때문에
시장의 흐름을 눈여겨 봐야한다
'주식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또로의 주식공부 PER, PBR, ROE 쉽게 이해하기 (2) | 2025.09.20 |
---|---|
또로의 주식공부 미국 증시 급락 Top 3 (2000년 이후, S&P500 기준) (1) | 2025.09.16 |
또로의 주식일지 차트분석하기 종목선택 (0) | 2025.09.11 |
또로의 부자일기 스톡옵션은 무엇인가? (1) | 2025.09.09 |
또로의 주식공부 투자자동향으로 흐름 읽기 (1) | 2025.09.08 |